본문 바로가기
2026학년도 EBS 수능특강 문학

장만영의 「달·포도·잎사귀」 완벽 해설: 모더니즘의 정서와 가을밤의 서정

by oesolstudy 2025. 4. 10.

장만영의 「달·포도·잎사귀」 완벽 해설: 모더니즘의 정서와 가을밤의 서정

가을밤의 고요한 정서를 가장 감각적으로 그려낸 시, 장만영의 「달·포도·잎사귀」는 수능과 내신에 자주 등장하는 대표 모더니즘 작품입니다.
이 작품은 특히 감각적 이미지, 대칭 구조, 공감각 표현이라는 핵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시험 문제에서 반복적으로 출제되며, 작품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핵심 포인트입니다.
지금부터 차근차근, 정답을 이끌어내는 방법으로 이 시를 분석해보겠습니다. ✍️

작가와 작품의 배경

장만영(1914~1975)은 황해도 연백 출신의 시인으로, 호는 초애(草涯)입니다.
그는 1930년대 한국 시단에서 모더니즘의 또 다른 가능성을 보여준 인물이에요. 당시 도시와 기계 문명을 냉소적으로 바라보던 김광균 계열과는 달리, 장만영은 자연과 전원을 배경으로 선명하고 고요한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집중했죠.

그는 김광균과 신석정 사이의 중간지점, 즉 이미지 중심의 모더니즘과 서정 중심의 전원 시의 절묘한 경계에 위치합니다.

「달·포도·잎사귀」는 1936년 『시건설』 창간호에 발표된 작품으로, 가을밤이라는 정서를 다양한 감각적 이미지로 형상화한 대표 시입니다.


시의 구조와 전개 방식

이 시는 전체적으로 A-B-C-B'-A'의 대칭 구조를 따릅니다. 이를 통해 시에 안정감회화적 구성미를 부여하죠.

1연(A): '순이'라는 호명으로 시작하는 동적 장면. 고풍한 뜰, 달빛의 물결이 흐릅니다.
2연(B): 달의 향기와 모습에 집중. 정적이고 관조적인 분위기.
3연(C): 깊은 가을밤의 정서 강조. '푸른/가을/밤'으로 상징성 강화.
4연(B'): 포도가 익어가는 정적 장면. 달빛의 은은한 성숙 표현.
5연(A'): 다시 '순이'로 회귀하며 마무리. 수미상관 구조 완성.

💎 핵심 포인트:
대칭 구조와 수미상관을 통해 시의 형식미를 높이며, 감정선에 리듬감을 더합니다.

표현상 특징과 효과

감각적 이미지의 활용

장만영의 이 시는 다양한 감각적 이미지를 통해 정서를 형상화합니다.

시각 이미지: “달빛이 밀물처럼 밀려 왔구나”, “포도는 달빛이 스며 고웁다”
후각 이미지: “달은 과일보다 향그럽다”
공감각 표현: 시각(달)이 후각(향기)으로 전이되는 공감각은 모더니즘적 특징을 잘 드러냅니다.

구조적 장치

수미상관: ‘순이’로 시작하고 끝나는 구조는 시의 안정감을 줍니다.
의도적 행갈이: “푸른/가을/밤”의 단어별 분리는 시각 효과를 극대화하고, 정서를 깊이 전달합니다.
대칭적 구조: A-B-C-B’-A’ 구성은 전체 시의 균형미를 부여합니다.


주요 소재와 상징적 의미

  1. 순이

    전통적, 순진무구한 모성을 상징하며, 따뜻하고 토속적인 정서를 형성합니다.

  2. 생명력, 성숙, 풍요로움의 상징으로, 시 전반에 걸쳐 고요한 정적 이미지로 표현됩니다.

  3. 포도

    자연의 생성과 성숙을 상징하며, 달빛을 받아 조용히 익어가는 모습에서 자연의 조화를 보여줍니다.

  4. 시의 중심 공간으로, 자연물들이 등장하며 성숙을 수용하는 공간적 배경으로 작용합니다.

💡 TIP: 상징적 의미는 단순한 대상의 설명을 넘어서, 시의 전체 정서를 결정짓는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시의 정서와 분위기

이 시는 전체적으로 정적이고 관조적인 분위기를 보여줍니다.
시어 하나하나가 마치 그림처럼 느껴질 정도로 회화적인 구성을 갖추고 있으며, '호젓하구나'라는 말에서는 쓸쓸하면서도 따뜻한 애상이 느껴지죠.

성격: 서정적, 회화적, 주지적, 관조적
어조: 고요하고 담담함
정서: 애상, 고요, 쓸쓸함

'푸른 가을밤' 속, 모든 것들이 달빛 속에서 잠잠히 익어가는 풍경은 독자의 마음에 고요한 파문을 남깁니다.

시험 포인트 & 마무리

  1. 수미상관 구조

    1연과 5연의 ‘순이’ 호명을 통해 시를 열고 닫으며 구조적 안정감을 줍니다.

  2. 의도적 행갈이

    “푸른/가을/밤”의 행갈이를 통한 시각적·정서적 효과는 자주 출제됩니다.

  3. 공감각적 이미지

    “달은 과일보다 향그럽다”는 표현은 감각 전이의 대표 예입니다.

  4. 대칭 구조

    A-B-C-B’-A’ 구조로 구성된 시는 형식미를 잘 보여줍니다.

  5. 시선의 이동

    달 → 뜰 → 가을밤 → 포도 → 잎새로 이어지는 시선은 시의 전개 방식을 이해하는 데 핵심입니다.

  6. 상징성

    ‘달’, ‘포도’, ‘순이’, ‘뜰’ 등의 상징적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핵심 정리:
모더니즘 기법과 한국적 정서를 동시에 품은 이 시는, 이미지 중심적 구성감각적 서정을 동시에 갖춘 걸작입니다.

Q1. “달은 과일보다 향그럽다”는 표현이 왜 시험에 잘 나올까요?

이 표현은 공감각적 이미지의 전형으로, 시각적 대상인 '달'이 후각적으로 '향그럽다'고 표현되어 감각의 전이가 일어납니다. 모더니즘 시의 중요한 특징이자 자주 출제되는 수사법이기 때문에 시험에서 꼭 알아둬야 합니다.

Q2. ‘수미상관’은 이 시에서 어떤 기능을 하나요?

‘순이’라는 동일한 시어로 시작하고 끝나는 구조는 수미상관 구조로 불리며, 시 전체의 형식미와 정서적 안정감을 부여합니다. 이러한 구조는 시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연결하고, 시의 정서적 마무리를 돕는 중요한 장치입니다.

📌 관련 태그:
수능국어, 내신국어, 달포도잎사귀, 감각적이미지, 한국모더니즘

🏷 브랜드 태그:
외솔교육, 외솔클래스룸, 외솔스터디, 외솔학원, 김무진국어

외솔교육 학습 자료

🎬 유튜브 '외솔교육' - 핵심작품 강의와 주요 수능 기출 문제 해설을 무료로 만나보세요.

🏫 외솔교육 홈페이지 - 기출문제 무료 다운로드와 수능/내신 학습 자료실을 이용해보세요.

📱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 심화 변형 문제와 학습 발전 컨텐츠, 실전 모의고사 기출 분석을 제공합니다.